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 학술회의가 4월 5일(금) 오후 1시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 23층 컨벤션홀에서 열립니다.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와 헌법이론실무학회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학술회의의 주제는 <3·1 대혁명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 민주공화국 100년의 평가와 과제>입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3·1 대혁명 직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제정·공포하면서 탄생했습니다.
임시헌장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함”이라는 규정은 1948년 제헌헌법을 거쳐 현행 헌법 제1조로 이어져 왔습니다.
그렇다면 임시정부가 천명한 민주공화국은 완성되었을까요?
그 민주공화국의 꿈은 분단과 독재로 빛이 바래기도 했었습니다.
대한민국 100년.
이제는 지난 100년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100년을 시작해야 할 때입니다.
선열들이 열망한 민주공화국 완성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우리가 이번 학술대회 <3·1 대혁명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 민주공화국 100년의 평가와 과제>를 준비한 이유입니다.
이번 학술회의는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한 세기’의 의미를 되새겨보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이 행사는 국가보훈처와 광복회가 후원합니다.
[행사일정]
13:00~13:30 등 록
13:30~14:00 개 회 식
14:00~18:20 주제발표
▪ 좌장 : 김형성 교수(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 제1주제 : 3·1혁명정신과 대한민국 임시정부헌법의 탄생
-발제 김선택 교수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토론 전종익 교수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김재영 변호사/연구부장 (고려대 법학연구원)
▪ 제2주제 : “임시정부헌법과 제헌헌법의 연속성”
-발제 김광재 변호사/초빙교수 (숭실대 법과대학)
-토론 이영록 교수 (조선대 법과대학)
홍석노 박사/연구부장 (고려대 법학연구원)
▪ 제3주제 : “민주공화국 100년의 과제와 현행헌법”
-발제 방승주 교수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토론 임지봉 교수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이한주 연구교수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 제4주제 : “민주공화국 완성을 위한 헌법개정”
-발제 정태호 교수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토론 김종철 교수 (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윤정인 연구교수 (고려대 법학 연구원)
18:20 폐 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