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106년
HOME > 제4기 글 자료실

제 목 구개척리터
글쓴이 관리자
날 짜
08-09-19 12:23
조회(6581)
트랙백 주소 : http://kopogo.kr/bbs/tb.php/writing4/11 

▲구개척리

 현재 구개척리는 러시아 거리로 완전히 바뀌어 있어 한인의 흔적이 전혀 남아 있지 않다. 구개척리는 블라디보스토크 군항 건설을 전후로 한 1874년 한인들이 최초로 집단 거주하던 지역이다. 현재의 포크라니치나야 거리 1번지로부터 ‘둔덕마투애’라고 부르던 그 아래 저지대에 이르는 일대가 러시아어로 ‘카레이스카야 슬라보드카(한인거주지)’라 불렸던 개척리 마을이 있던 곳이다. 1911년 5월 콜레라 에방을 이유로 이곳의 한인마을을 폐쇄하고 한인들을 신한촌으로 이주케 한 후 기병대의 주둔지로 삼았다. 이후 한인 집단거주지를 구별하기 위하여 웅덕마투애, 둔덕마투애에 있었던 한인촌을 ‘구개척리’라고 했고, 신한촌은 ‘신개척리’라 부르게 되었다. 구개척리는 을사늑약 이후 국치를 전후해 신채호, 장지연, 이강, 홍범도, 유인석 등 국내외 저명한 독립운동가들이 운집한 독립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한 곳이기도 하다. 이곳에는 계동학교 등 한인학교와 해조신문, 대동공보, 대동신보 등 한인 언론기관이 위치해 있던 곳이다. 1910년 8월 ‘경술국치’ 직전 유인석, 이상설, 김학만, 이범윤, 김좌두 등이 ‘경술국치’를 저지하기 위하여 성명회(聲明會)를 조직한 곳이기도 하다.

게시물 19건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9 안중근 단지동맹기념비 관리자 2008-09-19 6528
18 연추마을(한말 의병활동 중심지) 관리자 2008-09-19 5050
17 최초의 한인마을 지신허(地新墟)마을 관리자 2008-09-19 7404
16 4월참변 추모비 관리자 2008-09-19 6739
15 이상설 추모비 관리자 2008-09-19 4682
14 발해성터(내성) 관리자 2008-09-19 4567
13 발해성터(외성) 관리자 2008-09-19 7143
12 발해절터 관리자 2008-09-19 4702
11 구개척리터 관리자 2008-09-19 6582
10 극동국립대학(푸쉬킨극장) 관리자 2008-09-19 5868
9 신한촌터 관리자 2008-09-19 5723
8 신한촌기념비 관리자 2008-09-19 5082
7 고려사범대학건물 관리자 2008-09-19 4825
6 일본총영사관 건물 관리자 2008-09-19 4910
5 한인사회단 관련유적지 2 관리자 2008-09-19 4581
 1  2  


(우:03175)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3길 3, 내일신문 B1 / TEL : (02)730-0411 / FAX : (02)732-2870
E-MAIL : kpg19197837@daum.net
Copyright 2005 Korea Provisional Government All Rights Reserved